티스토리 뷰

esp : 현재의 스택 위치를 나타내는 포인터

ebp : 스택의 베이스 위치를 나타내는 포인터

eip : 다음 명령을 가리키는 레지스터

 

프롤로그

 - 함수가 호출되었을 때, 스텍 프레임을 구성하는 작업

push eip

 : 다음 명령을 가리키는 값을 스택에 push

push ebp

 : 베이스 포인터의 초기 값을 스택에 push

mov ebp, esp

 : ebp를 esp 값으로 저장시킴

 

에필로그

leave

mov esp, ebp

 : esp 레지스터에 ebp 주소를 저장시킴 

pop ebp

 : ret 과정 전에 ebp 값을 스택 프레임에서 pop 시킴(mov esp, ebp 과정이 선행되었으므로 pop되는 것은 ebp 값이 됨)

 

ret

pop eip

 : eip 값을 스택에서 꺼냄

jmp eip

 : 꺼낸 값으로 점프함

 

'hacking > system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bof에 환경 변수 사용하기  (0) 2020.08.23
Buffer overflow  (0) 2020.08.23
ROP(return-oriented programming) 공부하기 .. (완x)  (0) 2020.08.16
nullbyte없는 shellcode  (0) 2020.08.02
공지사항
최근에 올라온 글
최근에 달린 댓글
Total
Today
Yesterday
링크
«   2025/05   »
1 2 3
4 5 6 7 8 9 10
11 12 13 14 15 16 17
18 19 20 21 22 23 24
25 26 27 28 29 30 31
글 보관함